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에어컨 제습 전기세? 에어컨 전기세 절약 꿀팁

요즘 전국적으로 폭염이 심하다는 안전문자를 자주 받습니다. 폭염인 날씨에는 실내에서 에어컨을 켜두고 가능하면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최고인데요. 이런 무더위에 에어컨 없으면 큰일이죠. 요즘은 실외기가 없는 파세코 브랜드와 같은 창문형 에어컨도 많이 사용하는데요. 하루종일 틀어도 전기세 걱정하지 않는 에어컨 전기세 절약법과 제습모드의 진실을 알아봅니다.

 

 

 

2022 에어 서큘레이터 추천 순위 BEST 5 (장단점 비교)

에어 서큘레이터 2022 베스트 제품 TOP5을 선정해보았습니다. 아래에서 서큘레이터의 장점과 용도에 대해 알아보고 베스트 추천 제품을 참고하여 구매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에어 서

egostory.tistory.com

 

 

 

에어컨 전기세 절약 꿀팁 (feat. 에어컨 제습 전기세)

 

에어컨을 켜면 시원하긴 하지만 전기세 폭탄을 맞을까봐 걱정도 많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또, 많이들 궁금해하는 에어컨 제습모드는 전기세가 많이 나올지 아니면 적게 나오는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1. 에어컨은 인버터형을 구입하자.

에어컨은 정속형과 인버터형이 있습니다. 10년전에 판매된 에어컨 제품들은 대부분 정속형이고, 요즘 나오는 제품들은 인버터형이 대부분 입니다. 정속형과 인버터형의 차이는 쉽게 말해 정속형은 티코, 인버터형은 벤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버터형의 경우 적정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 가동이 멈추지만, 정속형은 실외기가 계속 돌아가기 때문에 전기세가 많이 나옵니다. 게다가 전기요금 누진세가 적용됩니다. 정속형의 경우 실외기가 멈추지 않고 계속 돌아가면 누진세가 곱하기x곱하기x곱하기로 적용되어 전기요금이 폭탄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 인버터형 에어컨 보러가기

👉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 보러가기

 

2. 에어컨을 계속 켜두자. (에어컨 끄고 켜고 반복 금지)

에어컨을 끄고 켜고 반복하는 행위는 오히려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 행위 중 하나 입니다. 그 이유는 인버터형 에어컨의 경우 처음에는 센 RPM으로 돌리다가 적정온도가 되면 RPM 속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전기세가 많이 나올까봐 전원을 끄게되면 RPM이 다시 돌아가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전기세가 절약 되지 않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처음에 가장 센 파워모드 (낮은 온도) 강풍으로 에어컨을 틀어 실내 온도를 낮추고 그 다음 실내 온도를 23~26도로 올리는 방법 입니다.에어컨은 실외기에서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강풍으로 틀어도 전기요금과는 큰 상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강풍으로 틀고 온도를 높여주어 하루 10시간 이상 에어컨을 틀어도 전기세는 3만원 정도 나오게 됩니다.

 

3. 에어컨 작동 전 실내환기를 시키자.

에어컨을 효율있게 쓰려면 에어컨을 가동시키기 전 실내 공기를 환기 시켜주면 에어컨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실내 공기를 흡입해 내뱉는 원리 때문입니다. 실외기는 말그대로 찬바람을 뿜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냉매가 실외기에서 왔을때 공기가 위쪽으로 흡입해서 밑으로 나오게 됩니다. 즉, 실내 공기의 온도를 가지고 에어컨에서 증발을 시켜 실내 공기를 낮추게 되는 원리 입니다. 그런데 실내 공기가 신선하지 않고 뜨겁다면 증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에어컨 안에 이슬이 많이 생겨 그 효율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전기세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4. 에어컨을 이용할 때 암막커튼을 이용하자.

에어컨을 틀면 열을 뺏기는 공간이 있는데 대부분 에어컨을 창문 옆, 거실 문 근처에 설치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름에 창문 옆은 매우 뜨겁죠. 그래서 냉기 손실을 줄이기 위해 암막 커튼을 치고 냉기 손실을 줄이면 냉방 효율이 좋아집니다. 즉, 열이 손실되는 부분을 암막 커튼으로 막아주어, 냉방이 외부로 뺏기지 않게 해주는 것이 실내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 입니다.

 

5. 제습모드는 에어컨 전기세를 줄인다? No!!

 

 

흔히들 알고 있는 제습모드는 전기세를 줄이는 정답이 아닙니다. 오히려 제습으로 에어컨을 돌렸을 때 전기세가 더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냉방으로 에어컨을 돌리면 실외기가 가동하면서 에어컨에서 냉매와 오일이 증발하면서 에어컨 안에 습기가 차고 이슬이 맺히게 됩니다. 하지만 제습 모드는 말그대로 습기를 순환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결로에서 나오는 수분을 호스로 물을 빼내면서 실외기가 돌아가게 됩니다. 다만 제습은 찬바람이 나오지 않을 뿐입니다.

또한 제습은 절대 오래 켜두지 말고 차라리 냉방 모드를 켜두는게 위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처음에 강풍으로 에어컨을 틀고 온도 올려 주는 방법이 더 전기세를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

 

6. 필터 청소를 자주 하자.

필터에 먼지가 많이 끼어 있으면 에어컨의 증발기에서 증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심하면 하얀 연기가 나오는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증발이 잘 안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때 필터 청소를 하면 효율을 높이고 전기세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필터 청소는 2주에 한번씩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에서-필터를-뺀-이미지
에어컨-필터청소

 

7. 에어컨 실외기 찬물을 뿌리자. 또는 실외기에 커버를 씌우자.

에어컨을 틀기전 실외기에 찬물 3바가지 정도 천천히 뿌려주면 실외기가 식어 전기 절약을 할 수 있고 실내 온도도 빨리 낮출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수돗물에 염소 성분이 있어 그냥 뿌리면 실외기가 부식되기 때문에 수돗물을 하루 정도 실외에 놔둔 후 염소가 날아가면 물을 뿌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에어컨실외기에-찬물뿌리는-사진
에어컨실외기-찬물뿌리기

 

실외기에 은박지 소재의 돗자리 형태의 그늘을 만들어 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은박지 소재의 실외기 커버 구입도 가능합니다. 실외기에 커버를 씌우면 실외기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 방법이 전기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태양빛을 반사시켜 최대 20%까지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애어컨-실외기에-커버씌운-사진
에어컨-실외기커버

 

8. 자동 건조 기능을 이용하자.

요즘 에어컨에는 자동건조 기능이 있는데 이는 전원을 끄면 바로 꺼지지 않고 에어컨 안에 증발기를 어느정도 건조 시켜주는 시간을 갖는 것입니다. 만약 자동 건조 기능이 없다면 송풍으로 5-10분 정도 돌린 후 전원을 꺼도 괜찮습니다. 이런 기능은 증발기를 건조시켜 증발기에 맺힌 물기가 마르면서 에어컨 안에 곰팡이가 덜 끼게 되고 결과적으로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9. 에어컨을 선풍기와 같이 켜자.

에어컨을 선풍기와 같이 켜면 20~40%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선풍기가-바람에-날리는-사진
에어컨을-선풍기와-함께-틀기

 

이외에도 전기요금 누진세를 피하는 방법으로 전기 밥솥의 보온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아본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과 그 중 흔히들 오해하고 있는 에어컨 제습 모드는 사실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럼 다들 여름철 무더위에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